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태백산 천제단
- Trup
- 사이버테러
- AVAR 2010
- printf 64비트
- 갤스 음악끊김
- MBR 부트 바이러스
- 64비트 변수 출력
- DDoS
- 난독화
- Weather & Toggle Widgets
- 시스템파괴
- Protector
- Trup 부트 바이러스
- Wingraph32
- linux 한글 깨짐
- 7.7 ddos
- 77 ddos
- ida
- facebook 쪽지 악성코드
- OllyGraph
- AVAR
- mbr
- 갤럭시s 음악끊김
- worm.win32.net-koobface
- 갤스
- linux LANG
- OllyFlow
- 하우리
- net-koobface
Archives
- Today
- Total
Mylabs
Usp10.dll 교체 (?) 악성코드 본문
최근 WPF 에 의해 보호받고 있는 시스템 파일들을 변조하거나, 교체하는 악성코드가 많이 나오고 있다.
때문에 wpf를 무력화 하는 코드도 포함하고 있는 경우들이 많다.
Linkinfo.dll 을 비롯해, 얼마전엔 comres.dll 이 기승을 부리더니,
몇일전부터 Usp10.dll 이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.
일반적으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특정 시스템 dll을 사용할 경우, 해당 dll 이 어플리케이션의 절대경로에 존재한다면,
%system% 시스템 디렉토리가 아닌 자신의 절대경로에 있는 dll을 호출하게 된다.
Usp10.dll로 위장한 악성코드는 그 점을 이용하여 확산되고 있다.
해당 악성코드는
DisableThreadLibraryCalls() 를 이용하여, THREAD_ATTACH 와 DETACH 동작은 제외하고
DLL_PROCESS_ATTACH 와 DETACH 의 경우에만 동작하게 되어 있다.
GetTickCount() 를 이용해 2가지 랜덤한 형태의 감염루틴을 가지고 있으며,
악성코드가 접근하는 DLL 은 lpk.dll 과 usp10.dll 이 타겟이다.
- 감염시 무조건 필수 증상
C:\WINDOWS C:\Program Files\Internet Explorer 두 폴더에 악성코드를 Usp10.dll 이라는 이름으로 넣어둔다. 윈도우 프로세스 대부분이 Usp10.dll 을 로드하므로, 쉽게 중복감염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. 특정 조건을 만족할 시에, (최초 감염이나, 추후 감염의 경로가 system32 일 경우) %system%Thumbss.db ( lpk.dll 백업본 ) %system%Thumbs.db ( Usp10.dll 백업본 ) 라는 이름의 파일을 생성하며, 이는 정상파일의 백업본이 된다. 경우에 따라, system 폴더의 usp10.dll 과 lpk.dll 이 정상이든 악성이든 교체되는 경우가 있고, 교체 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... 참 애매하다... |
해당 악성코드는 특정 게임을 타겟으로 하며, 인터넷 익스플로어를 이용 중국사이트 접속을 유도한다.
( 게임명은 언급하지 않겠습니다. )
해당 악성코드가 랜덤한 2가지 감염방법을 가지고 있고, 재감염 또한 쉽게 발생 가능한 로직으로 구성되어 있어,
현재 정상 lpk.dll 과 정상 usp10.dll 이 서로 이름만 교체되어 특정 어플리케이션 폴더나 시스템 폴더에 위치하여,
재부팅이나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문제가 생기기도 하고 있다.
'Malwa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이트온 쪽지 바이러스 (8) | 2010.03.08 |
---|---|
[ 'feng' 계정 생성 악성코드 : DB시스템에 다수 발생 ] (0) | 2009.12.16 |
Win32.Tank.A (2) | 2009.11.06 |
이메일 바이러스 - 블루스크린 발생, 재부팅 장애 (4) | 2009.10.20 |
커널 드라이버 악성코드 - Win32.Protector.A ~ C (0) | 2009.09.15 |